뉴스

정일우 “‘뇌동맥류’ 인생 전환점”…10년째 투병, ‘머릿속 시한폭탄’ 정체

컨텐츠 정보

본문

20240122000011_0_20240122061101064.jpg?type=w647
[배우 정일우 인스타그램 캡처]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배우 정일우가 뇌동맥류 투병이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됐다고 고백했다.

21일 오후에 방송된 JTBC '뉴스룸' 초대석에는 연극 '거미여인의 키스' 주역인 배우 정일우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정일우는 "20대 가장 큰 전환점이라고 하면 아팠었기(뇌동맥류) 때문에, 그런 시간들을 겪다보니 하루하루 감사함을 갖고 내가 작품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 자체가 달라졌다"고 했다.

이어 "아직 한참 깨져야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고, 그런 시간들이 있어야 더 단단해지고 성숙해지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일우는 "20대 때는 특히 고민했다. ('거침없이 하이킥'과)더 다른 캐릭터를 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며 "30대가 되다보니 그것을 깬다기보다 조금 더 발전된 캐릭터로 만들어가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나에게 어울리는 캐릭터가 있기에, 그런 캐릭터를 만나면 또 하나의 인생 캐릭터가 생기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또 "더 많은 경험들이 필요하지만, 남들에게 드러나지 않겠지만, 나름대로는 치열히 살아가고 있다"고도 했다.

정일우가 투병한 뇌동맥류는 이른바 '머릿속 시한폭탄'으로 불리기도 하는 병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뇌동맥류는 약해진 뇌혈관 벽 한쪽이 늘어나 풍선처럼 부푼 상태를 뜻한다. 파열되기 직전까지 특별한 전조증상이 없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지주막하 출혈이라는 뇌출혈이 발생해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에 따라 적게는 파열 환자의 15%, 많게는 30%가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생존해도 시야 손상이나 감각 이상 등 후유증이 남을 때가 많아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기에 환자가 모르는 때가 많다. 대개 건강검진 때 발견되곤 한다.

뇌동맥류의 크기가 3㎜ 이상으로 크거나 모양이 울퉁불퉁할 때, 뇌동맥류가 잘 터지는 위치에 생겼을 때 등에는 파열할 가능성이 있어 치료를 서둘러야 한다.

뇌동맥류가 파열된 후에는 신속히 병원을 찾아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생전 처음 겪는 머리가 깨질듯한 통증, 구역과 구토, 갑작스러운 의식 저하 등이 나타난다면 증상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환자들은 이때의 두통을 놓고 '갑자기 망치로 머리를 세게 맞는 느낌'이라고 표현키도 한다.

20240122000012_0_20240122061101069.jpg?type=w647
배우 정일우가 지난해 12월 28일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 서울사무소에서 열린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위촉 소감을 밝히고 있다. [연합]

정일우는 지난해 9월2일 방송된 MBN 예능 프로그램 '떴다! 캡틴 킴'에서 뇌동맥류를 언급한 적이 있다.

정일우는 "진단 받을 때 선생님이 '시한폭탄 같은 병이라 언제 죽을지 모른다'고 했다"며 "그래서 집 밖에 몇 달을 안 나갔다"고 고백했다.

정일우는 "지금도 계속 추적 관찰하고 있다. 6개월에 한 번씩 검사를 받고 있다"며 "이 병을 안지 10년이 넘어간다. 내 병이고 내 몸인데 어쩌나. 받아들이고 사는 것"이라고 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173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