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탈모 치료 길 열리나···서울대 연구진 “새로운 탈모 치료 기전 규명”

컨텐츠 정보

본문

0003273869_001_20240117142601110.jpg?type=w647


국내 연구진이 휴지기에 들어간 모낭을 다시 성장기로 전환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팀(이승희 박사)은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세포에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를 활성화해 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모발 성장주기를 조절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남성형 탈모 외 다른 유형 탈모에도 적용할 수 있어 새로운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남성호르몬과 유전적·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모발이 가늘어지고 점차 성장이 억제되면서 발생한다. 탈모에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돼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 또한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기능이 있다.

연구진은 ALDH2가 모발 성장과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나타내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LDH2 활성화제(Alda-1)를 활용한 실험을 했다. 실험 결과, 머리카락을 생성하는 모낭상피세포층을 중심으로 ALDH2 활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머리카락이 성장을 멈추는 휴지기에는 ALDH2 활성도 발현이 미미하다가 모발 성장기로 전환되면서 발현이 급증했다.

ALDH2 활성화가 모발 성장기를 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인은 복합적이다. ALDH2가 활성화되면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전환할 때 필요한 세포 내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과도한 활성산소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독성 산화 알데하이드를 제거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간 모낭 기관배양 실험 및 마우스 동물실험 결과에서도 ALDH2 활성화가 모발 성장기로의 전환을 유도하며 머리카락의 길이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가 확인됐다. 이 같은 효과는 기존에 출시된 탈모 치료제 미녹시딜을 도포한 대조군과도 비슷한 수준이다.

연구진은 ALDH2 활성화가 안드로겐성 탈모뿐만 아니라 노화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ALDH2를 통해 모낭의 형성 및 유지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베타카테닌 역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권오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ALDH2 활성화가 모낭에 미치는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모발 성장기 단계로 유도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탈모 치료에서 혁신적인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므로 더 나은 탈모 치료법을 개발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99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