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삼성SDS, 올해 사이버 보안 최대 화두 ‘AI 위협’ 제시

컨텐츠 정보

본문

20240123000087_0_20240123085801121.jpg?type=w647
삼성SDS타워. [삼성SDS 제공]

[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를 분석해 올해 주목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2024년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은 ▷AI를 악용한 보안 위협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보안 위협 ▷개인 정보, 민감 정보 등 주요 데이터 유출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 ▷공격 대상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보안 위협 등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는 IT·제조·금융·운송·회계 등 국내 대기업과 공공 부문 보안 전문가 700여명의 설문 결과를 반영했다. 삼성SDS는 글로벌 보안 운영 경험과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대응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생성형 AI로 촉발된 기술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해커는 AI를 악용해 손쉽게, 대량으로 악성코드를 제작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AI를 적용한 악성코드 분석, 위협 자동식별 등 방어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삼성SDS는 설명했다.

기업 맞춤형 하이브리드 환경은 보안 구성과 관리 영역이 복잡해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성이 높다. 삼성SDS는 클라우드 통합 보안 플랫폼(CNAPP)을 도입해 클라우드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하이브리드 환경 전체의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점검하면서 잘못된 환경 설정을 신속하게 식별해 취약점에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데이터 유출 경로와 공격 방법이 다양해지고, 유출된 데이터가 다크 웹에서 거래되면서 2차 피해까지 유발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데이터 손실 방지·저작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삼성SDS는 언급했다.

랜섬웨어(RaaS)를 상품화해 사이버 범죄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초기 침투 브로커(IAB)를 활용한 공격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엔드 포인트 보안을 강화하는 등 랜섬웨어 공격 발생 시 비즈니스 중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안 탄력성(Security Resilience) 확보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클라우드, 모바일 등으로 업무 환경이 확장되면서 해커의 공격 대상도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위협 대응을 위해서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을 적용해 반드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시스템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삼성SDS는 제안했다.

또한, 공격 대상을 선제적으로 축소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자동으로 탐지·분석·차단하는 기술인 TI(Threat Intelligence) 활용도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생성형 AI의 활용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업에서는 민감 정보 유출을 우려해 활용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 삼성SDS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빗 환경에서 다양한 생성형 AI 활용이 가능한 FabriX를 선보였으며, 민감 정보를 탐지·차단하는 AI 필터링 기능도 제공한다고 밝혔다.

변상경 삼성SDS 보안기술실장(상무)은 “생성형 AI, 클라우드 등 복잡한 업무 환경에 따른 보안 위협은 반드시 전사적 위기관리 관점에서 대응해야 한다”며 “보안 강화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기반의 솔루션과 서비스 도입은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70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