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OTT 있는데 굳이…케이블 41%·IPTV 36% "해지 고려 중"

컨텐츠 정보

본문

 컨슈머인사이트, 하반기 이동통신 기획조사 결과

0004989419_001_20240123094204520.jpg?type=w647
/자료=컨슈머인사이트
유료방송 가입자 3명 중 1명은 서비스 해지를 고려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유료방송을 해지하고 새로운 방송·미디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인 '코드커팅(Cord-Cutting)' 현상이 점점 강화된 것. TV 시청 감소와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의 성장이 맞물린 결과다.

이동통신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3일 국내 19세 이상 유료방송 이자 2만545명을 대상으로 코드커팅 의향과 그 이유를 물은 '2023년 하반기 이동통신 기획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하반기 조사 결과 케이블·IPTV 등 유료방송 이용자의 37%가 코드커팅을 고려하고 있었다. 이 중 4%는 실제로 '해지할 계획'이고 33%는 '고민 중'이라고 답했다. 케이블TV 이용자(41%)가 IPTV 이용자(36%)보다 비율이 좀 더 높았고, 여성(39%)이 남성(36%)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42%로 가장 높았고, 20대 39%, 40대 39%, 10대 38% 순이었다. 50대(34%)와 60대(31%)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코드커팅을 고려하는 이유는 급격히 줄어든 TV 시청 시간 때문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1%가 TV를 보는 일이 줄었다고 답했고, 30%는 TV에 볼 만한 것이 별로 없다고 했다.(복수응답 가능), OTT로 충분해서(27%), 요금이 부담돼서(26%) 등도 있었다. 특히 코드커팅 의사가 가장 높았던 30대는 OTT로 충분하다고 답한 비율이 36%나 됐다.

TV 시청 감소는 스마트폰·게임·OTT 등 뉴미디어의 부상에 따른 시대적 추세다. 실제 조사에서 하루 TV 시청 시간은 평균 2시간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인 하루 평균 4.8시간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심지어 TV 시청 시간의 28%는 OTT를 보는 데 할애됐다. VOD 시청 비율이 9%였고 TV 본연 기능인 실시간 방송 시청 비율은 63%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172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