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협, CEO 조찬회 개최… 이명박 前 대통령 기조연설

컨텐츠 정보

본문

한국무역협회(무협)는 23일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코엑스에서 구자열 회장을 비롯한 무역협회 회장단‧이사상사 및 무역업계 대표 36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76회 KITA CEO 조찬회’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0000964563_001_20240123100101352.JPG?type=w647
이명박(가운데 왼쪽) 전 대통령과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2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코엑스에서 열린 '제176회 한국무역협회(KITA) 최고경영자 조찬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한국무역협회 제공
이번 행사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특별 연사로 초청돼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이후 정만기 부회장이 ‘미‧중 무역 갈등과 우리의 선택’을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

구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12월 수출 총액과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 무역 수지가 동시에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최근 우리 수출은 일 년 여간 지속된 부진을 털고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올해도 선진국 성장세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될 전망인 만큼,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해 복합 경제 위기와 수요 침체 장기화 등 어려운 외부 환경 속에서도 3년 연속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하고 세계 8위 수출 강국의 위상을 지켜낸 기업인들을 격려했다. 또 대한민국 발전 과정에서 기업인, 서울시장, 대통령으로서 일해 온 경험담을 공유했다.

그는 “2024년 새해에도 기업인들이 지속 가능한 미래 준비를 위한 인재와 기술 확보,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기업인들을 독려했다.

정 부회장은 주제 강연을 통해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해 한국의 경우, 대중 수출이 2018년 1621억 달러에서 2023년 1248억 달러로 감소한 반면 대미 수출 시장 점유율은 2018년 12.0%에서 2023년 18.3%까지 확대되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중 갈등은 현재 우리의 무역보다는 투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반도체‧이차전지 등 우리의 핵심 산업의 대미 투자는 확대되는 반면, 대중 투자는 축소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중국 내 산업 기반을 동남아 등 대체 생산지로 이전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은 물론이고 중국도 시장 측면에서 중요한 만큼 기업들은 정치적 선택과 관계없이 경쟁력을 높여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노동 유연성 제고와 규제 개혁을 통한 한국의 산업 입지 매력도 제고, 출산율 제고와 생산가능인구 확대, 연구개발(R&D) 투자와 생산성 향상, 전략적 산업 통상 협력 체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자 프로필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172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