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이 낳으면 얼마나 지원받나?”…0세부터 7세까지 현금 2960만원

컨텐츠 정보

본문

0003544025_001_20240122095601033.jpg?type=w647
기사와 상관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여야가 선거를 앞두고 저출산 대책을 내놓고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정부가 시행 중인 저출산 지원 정책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올해부터 태어나는 아이 1명당 0세부터 7세까지 아동수당과 부모 급여, 첫만남이용권 등 총 2960만 원의 현금성 지원이 이뤄진다. 특히 올해부터는 급여 액수가 오르면서 체감 지원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늘고 있다.

우선 산모가 임신 진단을 받으면 ‘첫만남이용권’이 지급된다. 해당 이용권은 출생 초기 양육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아이가 태어났을 때 200만 원, 둘째 이상의 경우 기존 200만 원에서 올해부터 300만 원으로 늘었다. 산부인과 진료비를 비롯해 산후조리원, 육아용품 구입은 물론 식음료비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출산한 해와 그다음 해에는 ‘부모 급여’를 지급받는다. 부모 급여는 0∼1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에 보편적으로 지원되는 수당으로, 기존 ‘0세 월 70만 원·1세 월 35만 원’에서 올해 ‘0세 월 100만 원·1세 월 50만 원’으로 각각 30만 원, 15만 원 확대됐다. 0세에는 1200만 원, 1세에는 600만 원이 부모 급여로 지급될 예정이다.

0003544025_002_20240122095601075.jpg?type=w647
정부가 밝힌 현금지원 체계. 저출산고령사회위원 제공
아이가 0세부터 7세까지는 매달 ‘아동수당’도 나오는데, 매년 120만 원, 8년간 누적해서 총 960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출산 후 첫해에만 첫만남이용권, 부모 급여, 아동수당 등을 모두 합하면 총 1520만 원의 현금 지원이 이뤄진다. 이후 7세가 될 때까지 총 2960만 원을 받게 된다.

이외에도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보육 기관을 이용할 때 보육료나 가정에서 보육할 때의 양육수당 등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수당은 아동의 연령, 가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때문에 모든 아이 1명에게 지급되는 현금성 지원금은 총 2960만 원이다.

지원금 신청은 복지서비스 관련 포털인 ‘복지로’에서 신청할 수 있다. 올해부터 증액된 부모 급여는 아이가 태어나고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소급 적용돼 전액을 받을 수 있다. 60일 이후에 신청할 경우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받을 수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81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