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팩트] [의대증원 파장] 가톨릭의대 교수들도 휴진 유예…70% "진료 축소"

컨텐츠 정보

본문

의대파장.png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대학병원들이 휴진을 통해 정부 정책에 항의를 표시했지만 오히려 휴진에 대한 관심만 높아지고 환자들의 두려움만 키우는 역효과가 크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며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는 모습 /뉴시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데 이어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도 휴진을 유예했다.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5일 "대학병원들이 휴진을 통해 정부 정책에 항의를 표시했지만 오히려 환자들의 두려움만 키우는 역효과가 크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며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비대위가 지난 21일부터 전날까지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교수 70%는 휴진보다는 경증 환자 진료를 최소화하는 '진료 축소' 형식으로 투쟁 방식을 전환해 환자들의 불편이나 두려움을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다. 다만 향후 '큰 저항'이 필요한 순간이 오면 휴진 등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82%에 달했다.


비대위는 "국민 불편과 환자들의 불안함이 4개월째 지속되고 있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잘못된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 정부에 강력한 항의를 보내고 (상황을) 제자리로 돌릴 수 있도록 동참해주시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비대위는 정부가 전공의 7대 요구사항을 수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는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이미 시작된 대한민국 의료의 붕괴는 걷잡을 수 없는 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라며 "바로잡는 길은 (전공의) 7대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는 것 뿐이다.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향후 회복 불가능한 미래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2월20일 병원 현장을 떠나며 7대 요구안이 수용되지 않는 한 돌아오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요구안에는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증원 계획 전면 백지화,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전공의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등이 담겼다.


조소현([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1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