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데일리] 尹 "출연연 연구자 자율성 당연…비서실장 주재로 최상의 안 찾아라"

컨텐츠 정보

본문

윤.png

지난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민간위원 오찬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마친 뒤 대화하는 윤석열 대통령.(사진=대통령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달 초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으로부터 출연연 자율성 확대 방안 초안을 보고받고 비서실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최상의 안’을 만들 것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연구자들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일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 같은 취지를 살리면서도 현장에서 오해가 생기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에서 개별 정책을 마련하는 데 담당 수석과 정책실장은 물론 비서실장까지 논의에 참여하는 건 드문 일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사안이 중요하니까 이례적으로 비서실장까지 논의에 참여하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 결과물이 26일 발표된 ‘출연연 연구·개발(R&D) 생태계 역동성 및 지식 유동성 활성화 추진 방향’이다. 이날 발표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출연연의 인력 충원 재량권을 확대하고 세부 과제 간 예산 조정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인력이나 재정에서 출연연의 연구 자율성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또 출연연 평가에서 고유사업뿐 아니라 출연연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탁사업도 반영, 평가 부담을 줄였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연구·개발(R&D) 혁신과 과학계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민간위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연구 자율성을 위해 출연연을 공공기관에서 해제해달라는 건의를 받고 그 자리에서 수락했다. 올 초엔 대통령실에서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는 과학기술수석을 신설했다.


기존에 3년 주기 기관 운영평가와 6년 주기 연구성과평가가 격년 주기 통합 점검 평가로 개편된 데 대해 일각에서 장기연구가 위축된 것이라고 우려하는 데 대통령실은 기우라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장기적인 연구를 하면서도 중간중간 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의 6년 단위 평가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며 “평가 결과 ‘우수’ 등급을 받으면 다음 평가를 유예받기 때문에 오히려 평가받는 횟수가 지금보다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박종화([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1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