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매일경제] 삼성 ‘AI 냉장고’, 2개 심장으로 에너지 30% 절약

컨텐츠 정보

본문

냉장고.png

삼성전자 냉장고 미디어 브리핑에서 삼성전자 선행개발팀 위훈 부사장이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를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사진제공]

 

 

삼성전자가 컴프레서뿐 아니라 반도체 소자를 냉각에 활용한 냉장고를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전력 소모를 줄여 연간 약 3만원의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삼성전자는 20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브리핑을 열고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 극대화 기술이 호평받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냉장고가 24시간 가동하므로 전력 소모가 크고, 소비자도 전기요금 절감에 관심이 많은 점을 고려해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를 개발했다.


올해 상반기 출시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는 심장 역할을 하는 컴프레서 외 두 번째 동력원인 ‘펠티어 소자’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쓰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구동 방식이 유사하다.


펠티어 소자는 서로 다른 두 반도체에 전류를 흘려보내 한쪽 면은 열을 흡수하고 반대편에서는 열을 방출하는 원리로 냉매 없이 전기만으로 냉각 기능을 한다. 펠티어 소자는 기존에 정수기나 소형 냉장고 등에 활용됐지만 대형 냉장고에 이를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상시에는 AI 인버터 컴프레서가 단독 운전하면서 에너지 소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무더위로 얼음 소비가 급증하는 등 한 번에 큰 에너지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펠티어 소자가 함께 가동된다.


위훈 삼성전자 DA(생활가전) 사업부 선행개발팀장(부사장)은 “에너지 소비효율이 국내 최고 등급인 1등급 최저 기준보다 30% 더 뛰어나 이를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1년에 2만8000원가량을 줄일 수 있다”며 “여름에 누진제를 적용받으면 절약하는 요금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싱스의 ‘AI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AI 알고리즘이 향후 온도를 예측하고 최대 냉각이 필요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운전을 최적화한다. 성에 관리도 데이터를 활용해 필요할 때만 진행하는 등 맞춤형 에너지 절약 기능으로 실사용 에너지 소비량을 최대 25%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오는 8월 정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인 ‘스마트 포워드’를 통해 하이브리드 정온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해당 기능을 활용하면 식품 신선도를 유지해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생연어의 경우 기존 제품보다 1.2배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박승주 기자([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4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