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겨레] ‘반도체 15조 적자’ 삼성, 글로벌 전략회의 돌입…이재용은 불참

컨텐츠 정보

본문

반도체.png

삼성 창업자인 이병철 회장(왼쪽부터)과 이건희 2대 회장, 이재용 3대 회장. 한겨레 자료

 

 

삼성전자가 주요 사업 부문별 경영진이 참여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고 하반기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해 15조원에 가까운 적자를 낸 반도체 사업을 비롯해 모바일·가전 등 주력 사업에서도 고전하며 복합 위기에 놓였다는 평가가 나오는 와중에 열리는 회의다. 삼성전자가 이번 회의에서 돌파구를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전방위적 위기 속에 열리는 전략회의이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참여하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18일 경기도 용인 서천인재개발원에서 ‘모바일 사업부’(MX)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국내외 임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인 한종희 부회장 주재로 진행됐다. 19일에는 생활가전(DA)사업부·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VD), 20일 전사 부문, 25일 반도체 사업(DS)부문 순서로 회의가 이어진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날 회의와 관련해 “최근 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곧 공개할 폴더블폰과 스마트반지 등을 어떻게 판매할지 등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오는 7월10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언팩행사를 열어 폴더블폰 ‘갤럭시 제트(Z) 폴드·플립6’와 스마트반지 ‘갤럭시링’, 갤럭시워치7 등을 공개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온디바이스 기술’(인터넷에 연결하지 않더라도 기기 안에서 인공지능 기능을 쓸 수 있는 기술)이 화두인 만큼, 스마트폰 인공지능 고도화 전략도 의제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자체 인공지능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선보인 애플이 오는 9월 이 시스템을 접목한 아이폰16을 내놓을 예정인 터라 삼성전자 모바일 부문의 긴장도가 높다.


소비 부진에 따라 수요가 예전만 못한데다 경쟁력도 취약해졌다고 평가를 받는 가전 사업을 맡고 있는 생활가전·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전략회의도 인공 지능 활용이 중심 의제로 오른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 가전=삼성’이란 프레임을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왔다. 오는 19일 회의에서도 이런 프레임을 좀 더 확산하는 전략을 집중 논의한다.


이목이 쏠리는 반도체 사업(DS) 부문의 전략회의는 오는 25일 화성사업장에서 열린다. 전영현 부회장이 디에스 부문장을 맡은 뒤 처음 열리는 회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 15조원에 가까운 사상 최대 적자를 낸 바 있다. 올해 들어 실적은 회복세를 보이지만, 인공지능 칩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사인 에스케이(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뺏긴 상황이다.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기술 검증 관련 발언이 나올 때마다 출렁이고 있다. 삼성은 전략회의에서 인공지능 메모리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대 방안과 미세공정 기술 리더십 회복, 파운드리(수탁생산) 시장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재용 회장은 이번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다. 삼성 관계자는 “글로벌 전략회의에는 매년 이 회장은 참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최근 미국에서 메타, 아마존, 퀄컴 등 미국 빅테크 최고경영자 등을 만난 뒤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파운드리포럼엔 참석하지 않고 귀국했다.


김경욱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45 / 6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