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팩트] [의대증원 파장] '무기한 휴진' 서울의대 교수들 "중증·희귀 환자 진료 차질 없어"

컨텐츠 정보

본문

무기한휴진.png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7일 무기한 휴진을 앞두고 "진료가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의 진료는 휴진 기간 동안에도 차질 없이 진행된다"고 14일 밝혔다. /장윤석 기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오는 17일 무기한 휴진을 앞두고 "진료가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의 진료는 휴진 기간 동안에도 차질 없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전체 휴진이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으시는 분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서울의대 교수협 비대위는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께 정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으나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환자분들께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걸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고개를 숙였다.


다만 "전체 휴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최상급 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며 "이런 변화로 병원의 수익이 감소한다면 바로 우리나라 현재 수가체계의 문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대병원 노조를 향해서도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임을 헤아려달라"며 "함께 환자를 돌보는 동료로서, 국립대병원 노동자로서, 올바른 의료체계를 만들고자 하는 저희 교수들의 노력에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비대위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의료서비스 공급자, 소비자, 정부가 함께 모여 장기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상시적 의정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는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그리고 정책 결정권자가 서로 존중했다면 벌어지지 않을 일이었다"며 "협의체의 논의 결과가 실제로 반영될 수 있는 법적인 보장, 정책 집행을 위한 안정 재원을 위해 의료계와 정책 결정권자가 아무런 조건을 내세우지 않고 먼저 만나도 좋겠다"고 했다.


아울러 "1년짜리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현실성 없는 설익은 정책을 쏟아내는 대신, 효과와 부작용, 비용을 고려하며 공유자원인 건강보험재정이 고갈되지 않게 신중히 결정해달라"며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현장을 아는 전문가와 차근차근 상의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윤경([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55 / 9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