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파이낸셜뉴스] 인텔 "韓, AI 미래 중심… 네이버 등과 개방형 생태계 구축"

컨텐츠 정보

본문

인텔.png

인텔 데이터센터 및 AI 사업 총괄 저스틴 호타드 수석 부사장이 5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인텔 AI 서밋 서울 2024'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인텔 제공

 

 

"한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은 인텔 인공지능(AI) 미래 비전의 중심에 있다. 우리는 네이버 외에도 삼성과 SK하이닉스 등 기업들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갖고 협력하고 있다."


AI 반도체 후발주자인 인텔의 데이터센터 및 AI 사업 총괄 저스틴 호타드 수석 부사장은 5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인텔 AI 서밋 서울 2024'에서 "AI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한국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지 느낄 수 있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1위 사업자인 엔비디아에 맞서기 위해 한국의 네이버-삼성-SK하이닉스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삼성메디슨은 의료 이미징 등에서 협력하고 있으며 SKT와는 6세대(6G) 이동통신 관련 협력을 발표했다"며 "6G는 AI 앱의 확산 도입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AI PC와 관련 그는 "삼성, LG는 디바이스 파트너로서 중요하고 혁신적인 기업들"이라며 "스크린 기술, IC 메모리, 디바이스 전력 관리 등에서 많은 혁신을 해왔고 이런 파트너들과 함께 AI PC 시대를 열어가는 것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


호타드 수석 부사장은 엔비디아 제품 대비 인텔 AI 가속기 '가우디' 시리즈의 장점에 대해 "인텔은 개방형 생태계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 생태계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며 "가우디2, 가우디3는 다른 솔루션 대비 가성비가 가장 강력하고 균형을 기반으로 하는 워크로드의 최적화도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인텔은 지난 4월부터 네이버와 함께 AI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인텔 AI 가속기 '가우디 2' 관련 실험을 진행 중이며, 양사는 'AI 공동연구센터'를 만들고 국내 스타트업, 학계 등과 함께 AI 반도체에 쓰이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공동 개발에도 나섰다.


호타드 부사장은 네이버를 협력 파트너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네이버는 글로벌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제공업체)이자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이 광범위한 이용 사례를 갖고 있는 등 기술 혁신 기업이기 때문"이라며 "네이버도 성능과 효율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인텔과 지속적으로 함께 개발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행사에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인텔과의 AI 생태계 협업'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가우디2'에 대한 실험 결과를 연말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 센터장은 "연말까지 vLLM(시각대형언어모델) 가우디에 대한 오픈소스를 만들고 저희가 진행했던 많은 실험 결과들을 문서화해서 공개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며 "더불어 저희가 진행했던 많은 실험 결과들, 소스코드 등이 연말에 출시되는 가우디3에서 돌아갈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초거대 생성형 AI 시대에서 가장 큰 도전은 결국 하드웨어로, 특정 기업(엔비디아)의 AI 칩 중심으로 독과점화되고 있다"면서 "경쟁력 있는 대안을 확보하게 되면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이퍼 클로바X를 고도화해 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자윤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95 / 9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