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인천에 준공…연간 3만t 생산

컨텐츠 정보

본문

8일 오후 인천시 서구 원창동 SK E&S 자회사 인천그린에너지(IGE)에서 열린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에서 이재정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앞줄 왼쪽 네 번째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정
8일 오후 인천시 서구 원창동 SK E&S 자회사 인천그린에너지(IGE)에서 열린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에서 이재정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앞줄 왼쪽 네 번째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에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가 문을 열고 가동을 시작했다.

인천시, 산업통상자원부, SK E&S 등은 8일 인천시 서구 원창동 인천그린에너지(IGE)에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을 열었다. IGE는 SK E&S가 액화수소 사업을 위해 지난 2021년 설립한 자회사다.

이날 준공식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이재정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유정복 인천시장,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 장용호 SK(주) 대표이사 사장,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 액화수소 플랜트는 SK E&S가 약 7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구축했다. 하루 30t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 3기와 20t급 저장설비 6기 등을 갖추고 있다. 플랜트에선 인근 SK 인천석유화학에서 발생하는 기체 상태의 부생 수소를 활용해 연간 3만t의 액화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수소 전기버스 50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으로, 액화수소 생산 단일 시설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액화수소는 기체 상태의 수소를 –253℃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해 만든다. 기체 수소에 비해 부피가 800분의 1로 작고 압력이 낮아 경제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기체 수소에 비해 2배 빠른 충전 속도도 장점이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해 미국,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인도, 중국, 일본을 포함해 9개 국가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

SK E&S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전경. (SK E&S 제공)/ 연합뉴스
SK E&S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전경. (SK E&S 제공)/ 연합뉴스
인천에서 생산된 액화수소는 전국의 액화수소 충전소에 공급된다. 최근 국내 첫 액화수소 충전소 운영이 시작된 인천의 경우 연말까지 4개 충전소가 추가 설치된다. 산업부는 이를 포함해 2026년까지 총 40곳의 액화수소 충전소를 전국에 구축할 예정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수소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무탄소 전원”이라며 “정부는 민간과 함께 수소경제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부지런히 달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2030년까지 총 2000대의 수소 전기버스를 도입해 시내버스로 운용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액화수소 플랜트가 이들 수소 전기버스의 안정적인 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액화수소 플랜트 등 인프라를 토대로 수소 대중교통 체계 조성, 수소 분야 소재·부품·장비기업 육성 등 수소경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지원과 투자를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411 / 1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