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파묘’ 한자 문신 조롱 中 누리꾼에…서경덕 “훔쳐보지나 마” 직격

컨텐츠 정보

본문

0005271399_001_20240313094901019.jpg?type=w647
‘파묘’ 주인공 김고은과 이도현이 온몸에 축경을 새긴 모습. 사진 ㅣ김고은 SNS, 영화 스틸컷영화 ‘파묘’를 두고 일부 중국 누리꾼들이 배우의 얼굴에 그린 축경 문신을 “우스꽝스럽다”고 조롱한 가운데, 서경덕 교수가 “훔쳐보지나 말라”고 직격했다.

국내 관객 800만명을 돌파하며 1000만 고지를 앞두고 있는 ‘파묘’(감독 장재현)는 몽골을 시작으로 해외 133개국에 판매 및 개봉을 확정했다.

중국에서는 아직 영화가 정식 개봉하지 않았으나 지난 7일 중국의 한 누리꾼은 엑스(옛 트위터)에 배우들이 화를 피하기 위해 얼굴이나 몸에 한자를 새긴 것을 조롱하는 글을 게시했다. 해당 글은 현재 600만 조회수를 넘어서며 뜨거운 갑론을박으로 번지고 있다.

극중 봉길(이도현 분)을 비롯한 ‘파묘’의 등장인물들이 귀신의 화를 피하기 위해 얼굴을 비롯한 온몸에 축경(을보신경) 문신을 새긴 모습으로 등장한다.

봉길은 축경이 쓰이지 않은 신체 부위에만 화를 입었고, 이를 본 화림(김고은 분)의 제안으로 화림과상덕(최민식 분), 영근(유해진 분)이 얼굴에 금강경을 새긴 채 무덤으로 다시 향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0005271399_002_20240313094901065.jpg?type=w647
문제의 중국 누리꾼이 올린 글. 사진 ㅣ엑스(옛 트위터) 캡처문제의 글을 올린 해당 누리꾼은 “중국에서는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가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라며 “한국인들이 얼굴에 모르는 한자를 쓴다는 게 참 우스꽝스럽다. 한국에서는 멋있는 말이 중국어로 번역되면 우스꽝스러워진다”고 비꼬았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최근 몇 년간 한국의 드라마 및 영화가 세계인들에게 큰 주목을 받다보니 중국 누리꾼들의 열등감은 날로 커져가는 모양새다”라고 응수하며 “물론 건전한 비판은 좋다. 하지만 중국 누리꾼들에게 한가지 충고를 하고 싶은 건 이제부터라도 K콘텐츠를 몰래 훔쳐보지나 말았으면 한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더 글로리’, ‘오징어게임’, ‘우영우’ 등 세계인들에게 인기있는 콘텐츠를 불법 다운로드하여 ‘도둑시청’ 하는 것이 그야말로 습관화가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특히 “배우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고, 짝퉁 굿즈를 만들어 판매해 자신들의 수익구조로 삼았으며, 무엇보다 몰래 훔쳐 보고 버젓이 평점까지 매기는 일까지 자행해 왔다”며 “K콘텐츠에 대해 왈가불가만 할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존중’을 먼저 배워라”고 덧붙였다.

앞서 장재현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봉길이 몸에 한자 문신을 한 설정을 두고 “태을보신경이라고 잡귀신으로부터 몸을 보호해달라는 경”이라며 “영화 ‘사바하’ 때 야구선수를 하다가 신병이 와서 무당이 된 분을 만났는데 그분이 몸에 그렇게 문신을 새겼다. 언젠가 그 캐릭터를 꼭 쓰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봉길로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95 / 9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