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선거철, 딥페이크 피해 막는다…카카오 “AI 이미지에 워터마크 도입”

컨텐츠 정보

본문

-AI 워터마크 도입 확대
-이용자 대상 캠페인 전개
20240313050132_0_20240313111712196.jpg?type=w647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 모습. 성남=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카카오는 다음달 치러지는 제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맞아 선거관련 허위 조작 정보를 담은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을 근절하기 위한 여러 정책 기술적 조치를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

우선, 카카오는 책임감 있는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해 카카오브레인의 이미지 생성형 모델인 ‘칼로(Karlo)’에 비가시성 워터마크를 도입했다. 또한 이미지 생성 애플리케이션인 ‘비 디스커버’에는 가시성 워터마크를 이미 도입한 바 있다.

비가시성 워터마크는 일반 사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를 적용하는 기술이다. 이미지 가시적 훼손 없이 칼로로 생성된 이미지라는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비가시성 워터마크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일부 편집하더라도 비가시성 워터마크가 제거되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인물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생성물에 대한 공유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는 만큼 카카오톡 채널인 ’칼로 AI 프로필’ 기능에 비가시성 워터마크를 먼저 도입했다. 이미지 생성 웹 기반 전문가 툴인 ‘Karlo.ai’에도 이달 내 도입될 예정이다.

20240313050133_0_20240313111712202.jpg?type=w647
카카오 사옥 [헤럴드DB]

이용자 대상 캠페인도 전개한다. 다음 카페, 티스토리, 카카오스토리, 브런치스토리, 다음 뉴스, 다음 총선 특집 페이지, 다음 채널 스튜디오를 통해 캠페인을 지난 3월 8일부터 진행하고 있다.

창작자나 이용자가 악의적인 딥페이크를 포함한 선거 관련 허위 정보가 담긴 콘텐츠를 발견한 경우 공지문 속 링크나 신고하기 팝업 등을 통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신고할 수 있다. 카카오 고객센터를 비롯해 카카오 권리침해신고센터, 포털 다음 권리침해신고센터, 카카오의 안전한 디지털 세상 등에 신고 방법 확인이 가능하다.

아울러 카카오톡 내에서도 선거 기간 동안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카카오 공식 채널을 통해 딥페이크 근절을 위한 이용자 유의 사항을 발송해 이용자들이 딥페이크를 악용한 허위 조작 정보를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허위조작정보 신고 및 조치도 강화된다.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이용자가 신고할 수 있도록 하며, 빠른 조치를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신고센터로 바로 연결된다. 이용자 보호를 위해 자체 신고 센터를 24시간 운영해 빠른 모니터링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앞으로 남은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악의적인 딥페이크를 비롯한 허위 조작 정보를 담은 콘텐츠가 유통되지 않도록 관계 당국과도 긴밀하고 적극적인 협의를 지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93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