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임종윤 반발에 한미도 ‘표 대결’ 준비…주총까지 가나

컨텐츠 정보

본문

고(故) 임성기 한미약품 창업주의 장남인 임종윤 한미약품 사장이 한미약품 그룹과 OCI그룹의 통합을 저지하기 위해 법적 대응에 나서면서 한미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가처분 신청의 다음 단계는 3월 정기주주총회나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통한 표 대결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송영숙 한미약품 회장,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 측과 임종윤·임종훈사장 측은 우군 확보 등 본격적인 세(勢) 결집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수관계인을 제외하고 주요 주주 가운데 가장 많은 11.52%의 지분을 들고 있는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의 행보가 중요한 이유다.

0004288769_001_20240118184301016.jpg?type=w647


18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한미-OCI 통합에 대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한 임종윤 사장은 향후 우호 지분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가처분 신청이 인용돼도 양사 통합 계약에 대한 효력을 정지시키는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앞서 임종윤사장이 서울경제신문 인터뷰에서 언급한 것처럼 경영권을 가져오려면 주주총회를 열어 이사회 구성 변경 등을 위한 표 대결을 벌어야 한다. 임종윤사장 측 관계자는 “가처분 신청 결과는 심문기일 이후 한 달 이후 정도에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데 기일이 언제 잡힐지, 연장될지 여부 등을 알 수 없다” 면서 “주주총회 소집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양측은 가처분 신청 결과를 예의주시하면서 향후 열릴 주주총회에 대비해 물 밑에서 지분 연대에 돌입할 전망이다. 임종윤사장은 한미약품 그룹의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지분 9.91%를 가지고 있다. 가처분 신청에 뜻을 같이 한 임종훈 한미정밀화학사장(10.56%)은 우군으로 분류된다. 임종윤 사장은 개인 회사인 코리그룹과 최대주주로 있는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재원을 활용한 추가 지분 매입도 염두에 두고 있다. 지분 매집을 위해 행동주의 펀드나 사모펀드(PEF) 운용사와 손 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이 경우 임종윤 사장이 반대하는 명분인 회사 매각에 해당해 확률은 낮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어머니인 송영숙회장 측도 표 대결에 대비하는 모양새다. 송회장은 한미사이언스 지분 11.66%, 임주현 사장은 10.20%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4.90%를 가진 가현문화재단이 합세했다. 한미사이언스가 주식양수도 계약당사자를 송회장 친인척에서 송영숙, 재단법인 가현문화재단으로 변경한다고 공시하면서 이들의 움직임이 드러났다. 임성기 재단의 지분인 3.0%까지 활용한다면 지분율은 29.66%가 된다. 이번 그룹 통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라데팡스파트너스도 전략적으로 힘을 보탤 전망이다. 라데팡스는 “상속세를 감당할 수 없어 해외 자본에 넘어가는 현실에서 국내 자본 소유로 지배구조를 지켜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두 기업 간 규모의 경제와 유기적인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측의 표 대결 향방은 결국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11.52%)이 어느 쪽 손을 들어주느냐에 달려있다는 분석이다. 임종윤사장이 신회장을 설득한다면 32.62%의 지분율을 갖추며 송회장 측을 압도한다. 다만 신회장 측은 아직까지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사이언스 지분 6.76%를 가진 국민연금도 아직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한미약품 오너 일가가 극적으로 화해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쪽에 힘이 실린다. 송 회장은 OCI와 기업 통합 계획을 수립하면서 임종윤사장과 임종훈사장을 배제했다. 계약 발표 이후에도 임종윤 사장과는 소통하지 않고 있다. 임종윤·임종훈 사장이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면서 양측은 사실상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95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