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웹툰 산업 매출은 역대 최대인데..작가 수입은 줄었다

컨텐츠 정보

본문

0002616612_001_20240118093702945.jpg?type=w647
한국 웹툰은 K-콘텐츠의 미래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는 드마라 ‘내 남편과 결혼해줘’의 원작인 동명 웹툰의 포스터. 드라마가 사랑받으며 웹툰 거래액이 17배 뛰는 등 역주행하고 있다.

K-콘텐츠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웹툰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18일 문화체육관광부는 2022년 웹툰 산업 총매출액이 1조829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전년(1조5660억 원)보다 16.5% 증가했다.

이날 문체부가 공개한 ‘2023 웹툰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웹툰 산업은 꾸준히 성장했다. 문체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실태 조사를 시작한 첫 해인 2017년, 약 3799억 원에 그쳤던 매출액은 2020년 1조538억 원을 기록하며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듬해에는 다시 1조5000억 원을 넘겼다. 2022년에는 웹툰 산업을 이끄는 주요 플랫폼들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보고서에서 플랫폼 업체의 매출액은 2022년 1조1277억 원으로, 전년(8241억 원)보다 36.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0002616612_002_20240118093702963.jpg?type=w647
지난 5년간 웹툰 산업은 꾸준히 성장했다. 2022년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한국 웹툰은 최근 해외 시장에서도 인지도를 쌓으며 ‘K-웹툰’으로 불린다. 그러나 작가 수입이나 계약 등 창작 환경은 산업의 성장 속도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년 내내 연재한 웹툰 작가’의 연 평균 수입은 9480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030만 원 감소한 것으로,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오히려 창작자 수입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 ‘1년 내 연재 경험이 있는 작가’의 연 평균 수입 역시 2097만 원 줄어든 6476만 원으로 파악됐다.

‘검정고무신’의 고 이우영 작가 사건을 계기로 표준계약서 사용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으나, 실제 조사에서 작가들 상당수는 이를 잘 활용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웹툰 작가 800명 중 표준계약서를 인지하고 있다고 답한 이들은 67.0%였지만, 이를 그대로 활용했다고 답한 작가들은 16.4%에 불과했다.

문체부는 이달 중 ‘만화·웹툰 산업 발전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95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