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도심항공교통 부품 국산화 '대구가 중심'…市·KAI 인증지원센터 설립 협력

컨텐츠 정보

본문

한국형 산업생태계 조성 MOU…앵커기업과 기술 공동개발도
홍준표 시장 "ABB, 반도체 등 첨단 신산업과 함께 미래융합산업 이끌것"
0000857783_001_20240118192501161.jpg?type=w647
대구시는 18일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국내 항공방산분야 리더 기업인 한국항공우주산업(대표 강구영·KAI)과 UAM 추진체 국산화 등 한국형 UAM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구시 제공


대구에 한국형 '도심항공교통(UAM)인프라가 구축될 전망이다.

대구시는 18일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국내 항공방산분야 리더 기업인 한국항공우주산업(대표 강구영·KAI)과 UAM 추진체 국산화 등 한국형 UAM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AI는국내 대표 항공우주 방산기업으로 기본훈련기, 고등훈련기, 수리온 기동헬기 개발 등 유인 항공기 제작 관련, 세부 부품 단위 계통을 결합 최적의 완성품 성능을 구현하는 체계종합 개발을 한 국내 유일 기업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대구시와 KAI는 UAM 주요 부품인 전기추진체(모터 등) 국산화를 목표로 전기차 모터 특화단지 내 앵커기업들과 기술을 공동 개발하는 등 국내 UAM 제조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을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

또 UAM R&D 정부 연구과제를 함께 발굴해 추진하는 등 지역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키운다. UAM 인증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국내 개발 UAM 부품에 대한 체계적인 인증지원 시스템 구축에도 나선다.

지역 기업들은 미래 먹거리인 UAM 산업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 KAI는 한국형 UAM 기체 제작으로 국내 UAM 산업을 선도하는 등 대구는 국내 UAM 부품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TK신공항 개항에 맞춰 대구 도심과 신공항을 20분 이내 이동하는 UAM을 상용화해 남부권 내륙거점 교통 허브 UAM 스마트 특화 도시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구광역시와 KAI가 UAM 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길 기대한다"며 "ABB, 반도체 등 첨단 신산업과 함께 미래융합산업으로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070 / 195 페이지

먹튀신고갤


토토갤


스포츠분석갤